전문가 칼럼 일자리의 새로운 트랜드는 평생학습형 일자리 이계윤 | 광주평생교육진흥원장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밴드
  • 인쇄

요즈음 우리 사회는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숨 막혔던 지난여름 날씨처럼 뜨겁다. 왜냐하면 일자리란 우리의 생존과 행복을 단보 짓는 삶의 척도이기 때문이다. 일자리는 사람이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활동 즉 “일”이라는 개념과 지위와 직급을 뜻하는 “자리”라는 개념이 합성된 말이다. 즉 일자리는 직업과 같은 의미로 쓰여 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직종과 직무의 유형이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일자리의 개념이 변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지의 기사에 의하면 지난 10년간 새로 창출된 일자리의 94%가 비정규직이였고, 향후 10년 후에는 세계인구의 절반 이상이 프리렌서로 탈바꿈한다고 한다. 또한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을 바탕으로 1인이 회사를 창업하는 시스템으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평생직장 또는 직업에서 생애일자리(Lifelong Working)로 변함을 의미한다.

요사이 우리사회는 최악의 고용 한파라 하지만 4차 산업혁명 덕분에 IT 분야 일자리는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정보통신업 분야의 취업자는 86만 3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8만 1천명(10.4%)이 늘었다고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LoT), 정보통신기술(ICT), 3D 프린트. 코딩, 드론 등의 발달로 인하여 창의적이고, 융 · 복합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가 요구되고 만들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생학습형 일자리가 화두로 등장하였다.

평생학습형 일자리란 국가적 차원에서 모든 시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지식과 재능 그리고 역량을 개발하여 사회 · 문화 ·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기반의 사회적 일자리로 유형은 생애전환형 일자리, 자활학습형 일자리, 실천공익 형 일자리, 지식창업형 일자리, 시민지식형 일자리, 학습시민형 일자리, 전문현장형 일자리 등 7가지 유형이 있다. 이러한 일자리들은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공동체를 복원하고 활성화시켜 자기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 여름에 광주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시민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평생학습형 일자리”라는 주제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한바 있다. 이와 같은 행사는 광주광역시가 민선 7기를 맞이하여 이용섭 시장의 새로운 시정방향과 혁신도시로 발돋움하려는 정책방향과 연계되어 있다. 즉, 광주시가 대한민국의 중심도시를 넘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지는 중추적인 선도도시로서 역할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정신적 가치와 물질적 부가 함께하면서 “소통과 협력, 변화와 혁신을 통해 시대정신과 더불어 시민과 함께 새로운 광주시대를 열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이러한 비전과 정책의 중심에는 사람과 지역이 자리 잡고 있다. 인생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시민의 행복한 삶, 지역의 풍요와 번영, 그리고 사회적 포용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으로 융합된 새로운 가치를 담고 있다. 그러나 시민의 행복한 삶과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평생학습정책은 아직도 멀기만 하다.

독일의 메르켈 총리는 2007년 다보스 경제포럼에서 “일자리창출과 평생학습관련 예산을 늘려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줘야한다”고 역설한바 있다. 또한 독일 근로자들의 연간노동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적고, 고용률은 76%나 된다고 한다. 이렇듯 독일이 세계 4위의 경제대국을 이룩한 것은 평생학습을 통한 개인과 기업이 경쟁력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도 8월 27일 15차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5060세대인 “신중년 일자리 확충방안”을 발표했다. 신중년이란 이미 퇴직했지만 계속 일하려는 50~60대를 말하는 것으로, 내년까지 4만 4천여명이 혜택을 받는다고 한다. 정부대책의 핵심은 한국사회에서 고도 성장기에 활동한 신중년의 높은 교육수준과 풍부한 경력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서비스 영역에서 활용하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주요 활동 영역으로는 장애인활동 보조, 지역아동센터 학업지도, 박물관 해설사 등의 일을 하게 된다. 특히 민간 기업에서도 신중년을 채용할 경우 월 40만원에서 80만원까지 지원을 받는다고 한다.

그동안 우리에게 익숙 되어온 전통적 일자리에서 벗어나 100세 시대에 걸맞은 평생학습형 일자리가 무엇보다도 요구되어 감을 이제는 알아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평생학습형 일자리는 특정분야에 한정해서 일어난 것이 아니고 지식경제, 학습경제, 사회적 경제, 창조경제와 서로 연계되어야 비로소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진흥원에서는 민선 7기의 시정목표에 맞추어 2019년 사업계획을 “정의로운 광주를 실현하기 위해서 시민대학을, 그리고 풍요로운 광주를 위해서 평생학습형 일자리 플렛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그 중 플렛폼에서는 평생학습형 일자리를 발굴하고, 또한 평생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하여, 학습자들을 전문기관(즉, 사회적 경제지원센터, 노사발전재단, 광주인력개발원 등 ) 및 전문가에게 연결하여 인생재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렇게 함에 따라서 광주광역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 짖는 중추적인 선도도시로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계윤
이계윤 現 (재)광주평생교육진흥원 원장
現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장
前 광주광역시 장애인 재활협회 회장
前 전남대학교 평생교육원 원장
前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교수